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Webhard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아키비움 검색
Archive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증/기탁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Archive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Archive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Archive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Archive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도서정보
법규정보
언론보도
아키비움 소개
Archive
소개
이용방법
공지사항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증/기탁 안내
로그인
검색
아키비움 검색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증/기탁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도서정보
법규정보
언론보도
아키비움 소개
소개
이용방법
공지사항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증/기탁 안내
닫기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
충북 이야기
HOME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검색
매체별 검색
충북유산
충북실록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소개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유산의 보존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도서정보
법규정보
언론보도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닫기
프린트
게시물 검색
문화유산의 보존
-All-
제목
작성자
Total
26
,
Page
3
/ 3
Page unit
10
20
30
50
apply
송시열 초상화의 보존처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310
숙종 정축년(1697)에 영당을 세우고 서당을 재사로 하였다는 숭정오계미년(1943)에 송근수가 쓴 용문당계좌목의 기록과 경신년(1920)에 용문서당을 중수하고 쓴 곽수환의 용문서당중수기에 원래의 서당 동쪽에 건립하여 진상을 봉안하고 서당을 재실로 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1697년경에 제작된 초상이 있었음이 분명하나 원래의 초상인지는 알 수 없다. 용문서당계좌목에는 또 당중구적, 유창설이후명안일책, 이사중소전어필대노사비첩급영당편액, 장봉어차 라 하였을 뿐 이전이 진상에 대한 언급이 없어 처음의 초상이 다시 봉안되었는지, 혹은 다시 제작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송시열의 사후 그를 추모하여 받드는 수많은 영당과 서원이 건립되어 초상이 봉안, 향사되었는데 옥천의 용문영당 역시 그 중의 하나이다. 조선 후기 사대...
등록일
2021-10-22 19:23:01
진천 교성리 연화대좌의 자리이전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39
진천 교성리 연화대좌는 진천읍 교성리 옛 숭렬사(보재 이상설 선생 사당)에 있던 유물로 일제강점기의 조사자료에 연좌(蓮座)라는 명칭으로 처음 소개되었으며,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攬)』에는 규모로 보아 다른 곳에서 이전(移轉)해 온 것으로는 볼 수 없으며, 본래 이 자리에 있던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1996년 지표조사 당시 (前)숭렬사에 위치한 연화대좌]1972년 독립지사인 보재 이상설 선생의 존영을 모신 숭렬사가 건립되었다. 보재 이상설선생의 사당인 숭렬사를 1996년 진천읍 산척리 생가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진천군에서는 이곳 숭렬사터를 기증받아 이 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정화사업을 위하여 지표조사를 계획하였으며,진천군에서는 1996년 9월 12일 한국교원대학교박물관에 진천 숭렬사 지표조사를 의뢰하였다.조사...
등록일
2021-10-22 17:23:38
청주 압각수의 외과수술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54
수목 외과수술의 의의와 필요성 천연기념물, 보호수, 노거수, 희귀수가 오랜 세월을 지내는 동안 생물적 피해, 인위적 피해, 기상적 피해로 인하여 뿌리, 줄기, 가지에 외상을 받지 않은 나무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고사, 부패,도복, 쇠약, 부러짐, 갈라짐 등의 피해현상이 상당수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보호 면에서 볼 때 관리 잘못, 처리 잘못에 의한 피해도 무시할 수 가 없다. 나무는 생명체임으로 수백 년 된 거목이 고사한 후에는 소생시킬수 없으므로 피해방지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습기나 빗물 등의 침투로 인하여 부패가 진전 확산되어 도관이나 가도관까지 부패가 진전됨에 따라 수세가 쇠약하여지기 시작하면 잎이 작아지고 신초생장이 부진하고 열매가 많이 결실되며 잎이 퇴색되고 조기낙엽 현상이 나타난다. 이...
등록일
2021-10-07 15:30:11
제천 두학동 석조여래입상의 보호각 건립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6
석조문화재의 자연적 훼손은 빗물대기오염수분동결지반습기침투생물서식구조 불안정 등 원인은 다양하며 복합적이다. 문화재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관람객 동선을 고려하여 보호각을 설치해야 한다.아래 사진은 제천 두학동 석조여래입상이다. 발견 당시 석조여래입상은 불신이 땅속에 묻혀져 있었으며, 오랫동안 방치되어 불상이 마멸이 심한 편이었다. 석조문화재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1984년 보호각을 건립하였다.[두학동 석조여래입상 조사 및 1984년 보호각 건립]이 불상은 높이가 3.2m인 대형 석조 원각상으로 얼굴과 팔, 옷주름 등을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머리는 신체에 비해 큰 편이나 양손은 가냘프며 배부분은 볼록하다. 머리 부분은 육계가 낮아 얼굴이 더욱 둥글어 보이며, 이목구비는 얕게 조...
등록일
2021-10-07 15:29:53
제천 덕주산성의 문루 복원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35
1981년 처음으로 조사된 덕주산성은 상덕주사를 둘러쌓은 상성, 하덕주사를 포용하여 축조된 중성, 송계리 3구 후산의 하성, 송계리의 북문과 남문으로 된 관문형식의 외곽성의 4개의 성벽 줄기를 확인하여 덕주산성이 단순한 단곽의 산성이 아니며, 4겹의 성벽을 가진 성이란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1982년 중원문화권 정밀지표조사를 실시하여 1983년 충청북도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되어 일정한 법적 보호를 받게 되는 한편 주변 지역의 난개발을 억제할 수 있게 되었다.[1980년대 북문 동문 남문]1991년 충주공업전문대학교에 의해 상덕주사의 마애불 앞쪽의 절터에 대한 조사와 함께 덕주산성 성벽의 일부에 대한 실측조사가 실시되었다. 1998년에는 덕주산성 일부 성벽의 복원을 위한 기초조사의 일환으로 충북...
등록일
2021-10-07 15:29:35
괴산 송시열 유적지의 건축물 복원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67
괴산 송시열 유적은 화양계곡 내 위치한 화양서원 일원과 청천면 청천리에 있는 송시열 묘역, 2곳으로 구성된다. 화양서원은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1607〜1689)이 은거하였던 곳에 세워진 서원으로 우암의 영정을 모시고 그를 제향하기 위해 1695년(숙종 21) 세워졌다.[1970년대 송시열 묘소와 송시열 신도비]창건 이듬해인 1696년(숙종 22)에 충청도 유생 채지함(蔡之涵), 동지사(同知事) 이여(李畬) 등의 청액으로 사액을 받게 되는데, 이때 대사성 이여가 경연에 입시하여 사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던 것으로 알려진다. 화양서원은 산장(山長)을 두어 총관하였는데 초대 산장으로 우암의 문인(門人) 이수언(李秀彦)이 영수가 되었으며 이어 권상하(權尙夏)․정호(鄭澔)가 영수를 역임하였고 후학으로 민진원(閔...
등록일
2021-10-07 15:28:59
1
2
3
배너모음
국가유산포털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수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
이뮤지엄
충북문화유산활용사업
충청북도 전자도보
한국고전종합D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충북학연구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배너모음 이전
배너모음 재생
배너모음 정지
배너모음 다음